오피니언 1 페이지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검색어 필수
검색
Home
운영자
2023-09-22 (금)
종합
정부
정치 선거
경제
오피니언
사설
칼럼기고
명사초대
행정
강화군
김포시
인천시
자치의정
강화군
김포시
인천시
사회
사건 사고
경찰 소방
국방
교육
초중고
영유아
청소년
문화
예술 공연
기획 전시
도서 문학
복지
보건 의료
사회봉사
노인 여성
읍면동
강화군
김포시
인천시
사람들
인사
결혼
부음
커뮤니티
오피니언
오피니언 카테고리
열린 분류
사설
칼럼기고
명사초대
오피니언 목록
[사설] 일을 시작한 사람이 끝까지 책임을 져야 한다
<발행인 현송 김기헌>결자해지(結者解之)!! '묶은 것을 풀다' 라는 뜻을 가지고 있는 성어로 사물의 원인과 결과, 즉 원인론적인 관점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는 성어다. 다시 말하면 자신이 일을 해 놓고 일이 힘들거나 일을 끝마치더라도 자신에게 유리…
2023-09-19 16:26:21
[사설] 남 탓만 일삼는 요즘의 정치인들...
<발행인 현송 김기헌>과즉물탄개(過則勿憚改), 잘못이 있으면 즉시 고치라는 뜻이다. 사람은 누구나 크고 작은 잘못을 하며 산다. 한 가지 흠 없는 사람이 어디 있겠는가. 여기서 중요한 것은 잘못을 알고 난 후의 행동이다.&nbs…
2023-09-06 10:19:22
[사설] 나 자신이 먼저 친구가 되어 주자
<발행인 현송 김기헌>세계적 갑부였던 월마트의 창업자 샘 월튼이 죽음을 앞두고 자신의 삶을 돌아보니 친구라 부를 수 있는 사람이 없는 것을 한탄하며 크게 후회하였다고 한다. 친구가 없는 이유는 내가 다른 사람의 친구가 되어 주지 않았기 때문이란 말에…
2023-08-28 18:08:42
[사설] 자신을 믿고 최선을 다하자
<발행인 현송 김기헌>뭔가를 새롭게 시작한다는 것은 대단한 일이지만, 참으로 어려운 일이다. 경제가 어려운 지금의 시국에서는 더욱 그렇다. 내가 이루어보고자 하는 그 일이 중요하면 할수록 우리는 더 머뭇거리고 망설이게 된다.그렇지만 삶의 과정에서…
2023-08-09 06:49:42
[사설] 공과 사를 구분할 줄 알아야한다
<발행인 현송 김기헌> 공평무사(公平無私)모든 일을 바르게 처리하여 사사로운 이득을 없도록 한다는 뜻이다.“공은 공이고 사는 사다.” 즉 “공사를 구분할 줄 알아야 한다는 말이다” 공(公)과 사(私)는 공적인 일과 사사로운 일을 가리키는 글자이자 공…
2023-08-07 12:56:12
[사설] 군수의 건강 관련 논쟁, 그만 멈추자!!
<발행인 현송 김기헌>지난달 29일, 강화군 공보협력 담당관의 성명서를 접하면서 사람들 사이에는 정말 많은 인식의 차이가 있다는 것을 새삼 느끼게 됐다.강화군수는 건강상의 이유로 치료를 받고 있다, 현재는 건강상태가 많이 호전됐다고 한다. 이를 지켜…
2023-07-16 22:27:14
[사설] “무죄” 죽산 조봉암 선생 농지개혁 기념관 건립한다
<발행인 현송 김기헌>간첩으로 몰려 1959년 7월 30일 억울하게 사형 당한 죽산 조봉암(1899~1959)선생은 2011년 1월20일 무죄 판결을 받았다. 당시 대법원 전원합의체(주심 박시환 대법관)는 간첩으로 몰려 사형당한 진보당 당수 조봉암에…
2023-06-21 19:01:53
[사설] 안주(安住)하면, 강화군은 소멸(消滅)된다
<발행인 현송 김기헌>경기도 구리시의회가 내실 있는 조례 제정을 위해 의정 사상 최초로 전문가들의 의견을 청취하는 절차를 거친 '1호 조례안'을 제정했다. 현재 구리시는 수도권정비계획법상 과밀억제권역으로 규제를 받고 있고, 과도한 개발제한구역으로 인…
2023-06-12 16:54:57
[사설] 더 나은 삶을 살 수 있게 변화하라!!
<발행인 현송 김기헌>여시구진(與時俱進). 시대의 흐름에 맞게 나아간다는 뜻으로, 유연한 자세로 시대 변화에 알맞게 대처해야 함을 이르는 말이다.춘추시대 송(宋)나라에 한 농부가 밭을 갈고 있었다. 밭 가운데 나무 한 그루가 있었는데, 마침 토끼 한…
2023-05-22 15:30:40
[사설] 언론은 진실만을 보도하고 있는가?
<발행인 현송 김기헌>언론의 여러 기능과 역할 들 중에서 가장 중요한 기능은 ‘권력 감시’와 '견제'이다. 더 나아가 정부가 국민으로부터 위탁된 정치 권력을 오남용하는 것을 견제하고, 동시에 사회의 부정부패를 감시하고, 비판함으로써 공공의 이익을 증진시키는데…
2023-04-26 10:58:56
[사설] "삼사일언 (三思一言)” "삼사일행 (三思一行)”
<발행인 현송 김기헌>정치인과 장관은 다른 사람들의 갈등을 조정하는 사람이다, 그러기 위해서 국민들의 소리에 귀를 기울이고 공감의 경청과 소통의 말을 해야 한다. 그런데 요즘 일부 정치인들과 장관들의 격한 말과 거친 논리에 노출된 국민은 …
2023-04-23 19:44:44
[사설] 겉 다르고, 속 다른 이기적인 사람
<발행인 현송 김기헌>구밀복검(口蜜腹劍). 입에는 꿀을 바르고 뱃속에는 칼을 품고 있다는 뜻으로, 겉으로는 절친한 척하지만 내심으로는 음해하고 헐뜯는 것을 비유한 말이다. 당(唐)나라 현종(玄宗)은 나이가 들면서 점점 주색에 빠져들었다. 그러다 보니…
2023-04-11 16:58:46
[사설] 자신의 관점 아니라, 남의 처지에서 생각하자
<발행인 현송 김기헌>당장 눈앞에 보이는 차별만을 알고 그 결과가 같음을 모름을 비유할 때 “조삼모사(朝三暮四)”란 사자성어를 사용한다. 또 잔꾀를 써서 남을 속이는 것을 뜻하기도 한다. 송(宋)나라에 저공(狙公)이라는 사람이 있었다. 그는 원숭이를…
2023-03-21 15:18:36
[사설] 우리나라 위정자들의 현주소는?!
<발행인 현송 김기헌>세상은 갈수록 복잡해지고 곳곳에서 갈등과 반목이 일어나고 있다. 위정자들 역시 국민의 고통은 안중에도 없고, 당리당략을 초월하여 국민을 위하는 척 하면서 제 잇속 챙기기에 몰두하고, 관료들의 말과 행동은 충성맹세를 하는 모습으로 비춰진다…
2023-03-09 14:40:51
[사설] 덕을 쌓으면 일이 순조롭다
<발행인 현송 김기헌>“물이 깊어야 고기가 모인다”는 속담이 있다. 자신에게 덕망이 있어야 사람들이 따르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다. 즉, 일정한 바탕이나 조건이 갖추어져야 그것에 합당한 내용이 따르게 된다는 뜻이다. 임심조서(林深鳥棲…
2023-02-26 22:06:02
[사설] 서로가 도움을 주는 일에 손뼉을 마주치자
<발행인 현송 김기헌>고장난명(孤掌難鳴)!! 손바닥 하나로는 소리가 나지 않는다는 뜻이다. 즉 손뼉이 울리기 위해서는 두 손바닥이 마주쳐야만 한다는 말이다. 혼자서는 일을 이룰 수 없음을 비유하거나, 맞서는 사람이 없으면 싸움이 되지 않음을 비유할 …
2023-02-13 11:24:11
게시물 검색
검색대상
제목
내용
제목+내용
회원아이디
회원아이디(코)
글쓴이
글쓴이(코)
검색어
필수
검색
열린
1
페이지
2
페이지
3
페이지
맨끝
최근에 등록한 뉴스
김포시, 멘토와 멘티가 함께 배우며 디지털 리터러시 강화
김포시, 다음달 27일 풍무도서관 달밤인문학 ‘글로 꿈을 꾸는…
통진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지원협의회, 추석 명절 맞이 청소년 물…
행정 효율성 제고·지역발전 위한 행정체제 개편에 공감
‘유정복 인천시장’, 대한민국리더십 대상 수상
인천강화경찰서,찾아가는 치안 설명회 개최
유천호 강화군수, 농·축·수산물 소비 촉진 캠페인 동참
강화군, 인구 정책 아이디어 공모전 개최
‘강화행복 키즈카페’와 함께하는 풍요롭고 넉넉한 한가위
강화군, 지방보조금 운영·관리 능력 UP
가장 많이 본 뉴스
김포시의회 김인수 의장, ‘서울5호선 김포 연장사업 예비타당성…
김포시의회 김인수 의장, ‘NO EXIT’릴레이 캠페인 동참
홍원길 의원, 경기도의회 2년차 의정활동은 虎視牛步의 자세로!
<강화경찰서 2023 상반기 인사발령>
박승한 의장, 어촌 휴가 및 수산물 소비 장려 캠페인 참여
제57대 강화경찰서장 남규희 총경 취임
강화군 화개정원, 경제 파급 효과 연간“약 298억원”
자신을 믿고 최선을 다하자
공과 사를 구분할 줄 알아야한다
김포시, 최초·최대규모「서울동행버스」21일부터 도입
신문사소개
구독 및 광고안내
기사제보
약도
개인정보취급방침
운영자게시판
모바일버전
인터넷 경인열린신문
등록번호 : 인천, 아 01579 등록일 : 2022.01.18 발행인 편집인 대표 : 김기헌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기헌
주소 : (우)23041 인천광역시 강화군 선원면 중앙로 100 207호 희년빌딩 편집국 : 032-934-5750 팩스 : 032-934-5755 광고 구독신청 : 032-934-5751
이메일 : kiyln@daum.net
인터넷 경인열린신문의 모든 콘텐츠를 무단 사용하는 것은 저작권법에 저촉되며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by kiyln.kr
상단으로